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JavaScript 입문 : 기본기 (따옴표, 백틱, 줄바꿈, typeof)
    컴퓨터 알아가기/JavaScript 2021. 10. 18. 19:30
    728x90
    반응형

    이 블로그는 제로초 TV 자바스크립트 강좌를 기본으로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 코드작성 규칙

     

    1. 따옴표 활용

     

    코딩을 할때 주목적은 값(Value)을 구하는 행동입니다. Value에는 크게 3가지로 나뉘어 지는데 문자, 숫자 그리고 참과 거짓으로 나타내어지는 결과값으로 나뉘어집니다. 그 중 첫번째 문자열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영어로는 'String'이라고 합니다. 

     

    지난시간 연습했던 hello,world 로 출력되었던 모양이 문자열 값입니다. 문자열은 따옴표로 나타냅니다. 다음 두가지 형태를 보시죠. (역시 구글 첫페이지 화면에서 개발자코드로 연습합니다.)

     

     

    첫번째는 작은따옴표를 사용했고, 두번째는 큰따옴표를 사용했는데 모두 결과값은 "hello,world"로 문자열값이 큰따옴표로 나왔습니다. 

     

    2. 백틱 ( ` ) 활용

     

    자판 1번 옆에 있는 기호( ` )를 백틱(BackTick)이라고 하는데 문자열을 따옴표대신 사용해도 같은 결과값을 가집니다. 

     

     

    백틱 사용시 뒤에 백틱이 반영될때까지 에러가 나지 않고 계속 진행이됩니다. 결국 다음과 같이 6번 엔터를 치고 글자를 썼는데 다음과 같이 나오네요.

     

     

     

    3. typeof

     

    typeof 명령어는 내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내용이 문자열인지 어떤것인지 구분하여 나타내어 줍니다. 현재 문자열을 공부하고 있으니 문자열을 만든 코드앞에 typeof를 다음과 같이 붙혀보고 결과값을 보겠습니다. 

     

     

    결과값이 "string"으로 나왔으니 문자열이 맞네요.

     

    빈 공간을 typeof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역시 빈 내용이지만 이것 또한 JavaScript에서는 "string"으로 인식합니다. 

     

     

    4. 등호 표시 (비교)

     

    등호를 2개 붙혀서 사용하는 경우 앞과 뒤를 비교해서 같으면 true값을 틀리면 false값을 나타냅니다. 다음 예는 앞과 뒤의 띄어쓰기 갯수가 같을경우와 틀릴경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값을 Boolean값이라고 하는데 향후 다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5. 문자열에 따옴표 처리 

     

    만일 문자열을 만드는데 있어 작은따옴표든 큰따옴표든 문자열에 포함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경우는 서로 같은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즉, 작은따옴표를 인용하고자 할때는 큰따옴표를 맨앞과 뒤에 적용하고 반대로 큰따옴표를 인용하고자 할때는 작은따옴표를 맨앞과 뒤에 적용하면 됩니다. 

     

     

    다음 예를 보면 이해가 쉬울 듯 합니다. 

     

     

     

    그런데 대부분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을 하는 사람들은 큰따옴표는 잘 사용하지 않고 작은따옴표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럼 작은따옴표를 인용하고자 할 경우 큰따옴표대신 작은따옴표로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쉼표앞에 역슬래시를 사용하면 됩니다. 

     

    영어와 한글 모두 적용한 내용입니다. 

     

     

     

    이렇듯 여러가지 케이스가 있으리라 보여집니다. 많은 내용들을 직접 입력하면서 어떤 형태의 결과값이 나오는지 연습만이 내 것으로 만드는 길인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