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Script 입문 : 함수 기본 -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컴퓨터 알아가기/JavaScript 2022. 1. 12. 19:30728x90반응형
이 글은 제로초 TV의 자바스크립트 강좌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
1. 기본구조
지난시간 함수의 기본구조를 이해해 보있습니다. 이제는 이 기본 구조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해 보고자합니다.
함수 기본구조 상기 기본구조에서 함수를 표시하는 괄호( )안에 변수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게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입니다. 앞으로는 가능한 영어로 이해를 하는편이 가장 좋습니다. 어차피 해당 프로그램을 만든사람의 기본언어가 영어이기 때문입니다.
어찌되었던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는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매개변수는 말 그대로 변수의 역할을 하며 연결되는 인수역할을 함수실행시 하게됩니다. 다음 예제를 보겠습니다.
함수실행의 b()에서 인수의 각 요소를 지정('This', 'is', 'Tom')하여 함수선언하는 x, y, z에 각각 반영이 되어 console.log( )에 나나타내게 됩니다.
2. 기본구조 응용 (사칙연산)
그럼 parameter와 argument를 활용하여 사칙연산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더하기
더허기는 parameter에서 변수를 선언하고 중괄호안에 더하기 함수를 정의 하고 함수실행시 사용하는 인수를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② 빼기
빼기는 상기 덧셈에서 console.log()로 나타 내었는데 return 으로 반환하도록 하겠습니다.
③ 곱하기와 나누기
같은 방식으로 곱하기와 나누기를 나타내 보겠습니다.
☞ Parameter가 4개인 변수로 곱하기 함수를 만들어 보기
매개변수가 2개이든 3개이든 기본구조만 알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이 만들수 있습니다. 괄호함수로 해 보겠습니다.
☞ 괄호 함수에서는 return과 중괄호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다음 2가지 함수는 같은 개념입니다.
눈으로 보는 것과 직접 콘솔에 타이핑하면서 이해를 하는것은 엄청 차이가 납니다. 반드시 다양한 방법으로 여러가지 케이스를 상상하면서 콘솔에 직접 작업하기를 추천 드립니다.
반응형'컴퓨터 알아가기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입문 : 객체의 비교 (0) 2022.01.15 JavaScript 입문 : 객체리터널 (Object Literal) - 속성 (0) 2022.01.14 JavaSript 입문 : 함수 기본구조 (0) 2022.01.10 JavaScript 입문 : 객체 - 배열 (Array) 기본 (3) includes(), indexOf(), lastIndexOf(), 배열반복 (0) 2022.01.06 JavaScript 입문 : 객체 - 배열 (Array) 기본 (2) - 배열수정, pop(), shift(), splice() (0) 2022.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