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Sript 입문 : 함수 기본구조컴퓨터 알아가기/JavaScript 2022. 1. 10. 19:30728x90반응형
이 글은 제로초TV의 자바스크립트 강좌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입문문법의 마지막인 함수를 살펴볼 겁니다. 함수를 하더라도 머리속에 프로그래밍에 대한 개념이 잘 잡히지 않습니다. 앞으로 지속적인 복습과 응용만이 앞으로 나아갈 길 같습니다.
▒ 자바스크립트 함수
1. 함수의 정의
함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값을 계산하는 문장 집합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좀 더 쉽게 설명하면 수학시간에 배웠던 함수나 계산식 등을 하나의 프로그램화 시켜 결과값을 화면에 출력시키는 코딩역할이라고 보면 됩니다.
2. 함수의 기본구조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function a( ) { }
이거나
const b = ( ) => { };
의 형태로 만듭니다.
function a( ) {
console.log(‘Hello Function’);
}
이렇게 함수를 선언하게 되면(함수선언) 결과값을 호출시킬 때 함수 이름만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호출
a( );
엔터를 친 결과값은 console.log( )함수값의 내용이 반환됩니다.
반환값(return)을 함수내에 선언하면 그 다음줄은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다음 내용을 참조하세요.그러면 만일 함수이름인 b만 호출해 보면 함수의 내용이 나오네요..
return(반환) 이라는 명령어로 해당 문장을 실행하고 멈춘다고 보면 됩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문에서는 ture일 때 return시켜서 멈추거나 false일 때 console.log( )값을 나타내게 됩니다.
다음과 같이 함수의 return 값을 받아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만일 return값을 여러 개 나타내고 싶을때는 배열을 이용합니다.
배열을 사용하지 않으면 return값은 마지막 숫자인 3만 반환됩니다.이렇게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면 언젠가는 만족하는 순간이 오리라고 확신합니다.
반응형'컴퓨터 알아가기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