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메인(Domain)과 웹호스팅(Web-Hosting)컴퓨터 알아가기 2021. 1. 12. 19:30728x90반응형
우리가 인터넷 서핑, 검색을 할때 대부분은 네이버나 구글 또는 다음 등 포털사이트로 들어가서 시작한다.
그렇다면 네이버로 접속할 때 주소창에 입력하고 들어가는데 이것을 쉽게 도메인(Domain)이라고 한다.
즉, 사전적 의미로 영토, 영역인데 인터넷 주소라고 생각하면 될 듯하다.
원래 모든 사이트가 작동할려면 프로토콜이 작동해야 하는데 인터넷 프로토콜 (Internet Protocol: IP)을 알기쉽게 영어나 한글로 바꿔놓았다고 보면 된다.
IP는 4가지 숫자구성요소로 되어 있는데 (예: 240,10,10,.1) 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example.com 식으로 바꾼것.
윈도우 사용자 기준으로 예를 하나 들고, 넘어갑시다. (깊이 들어가지 않기로 했고)
맨밑 검색창에
cmd 라고 치면 '명령프롬프트'라고 나온다. 검은색화면이고 컴퓨터에 명령어를 입력하는 창이다. 여기에 네이버의 IP를 확인해 보자.
확인 명령어는 ping naver.com
IP주소가 223.130.195.200이다. 이 숫자를 브라우저 위에 넣어보자
네이버 메인페이지로 들어간다. 즉, 우리가 IP 숫자를 외울수 없기에 알 수 있는 집주소에 이름을 붙힌걸 도메인(Domain)이라고 보면된다.
전세계 수많은 IP주소로 연결된 도메인이 존재한다. 우리가 쉽게 이용하는 검색창도 IP주소보다는 도메인주소로 검색을 해주고 그게 이용하는 유저(User)에게 더욱 편하다 (User Friendly).
그러면 네이버처럼 나만의 홈페이지를 갖고자 하면 어떻게 할까?
내 사이트(홈페이지)를 만들면 된다.
홈페이지는 기본적으로 HTML이라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로 만들어진다. (뭐 요즘 여러가지로 하는데..)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 Hyper는 떠있는이라는 뜻으로 Text가 Hyper 되있다는 개념이다. (아마도 나중에 이해가 될 것으로 ~)
홈페이지의 개념은 다음장에서 하고
홈페이지가 되었다면 (Front-end영역, Client 영역) 이 홈페이지가 내 컴퓨터뿐 아니라 인터넷상에서 보여질 수 있게 하려면 어딘가 저장이 되어서 작동해야 하는데 그러한 일련의 동작을 웹호스팅(Web-hosting)이라고 한다. 즉, 이는 Back-end 영역, Server 영역이다.
그래서 우리는 웹호스팅 서버에 나의 홈페이지를 올려놓고(저장)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인터넷을 통해 볼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나의 홈페이지를 갖기 위해서 나만의 도메인도 가져야하고 저장할 서버도 필요하다는 결론이다. 사실 이러한 요소 하나하나 사업자가 있어서 유료로 진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 모든것을 유료로 하기 전 흥미가 있는지 적성에 맞는지 등등 파악하기 위해 다음 시간에 무료로 모든 것을 경험해 보고자 한다.
반응형'컴퓨터 알아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홈페이지 무료도메인 주소로 무료 웹호스팅 하기 (3탄) (0) 2021.01.15 내 홈페이지 무료도메인 주소로 무료 웹호스팅 하기 (2탄) (0) 2021.01.14 내 홈페이지 무료도메인 주소로 무료 웹호스팅 하기 (1탄) (0) 2021.01.13 프론트엔드(Front-end) 백엔드(Back-end) 그리고 개발자코드 보기(F12) (0) 2021.01.07 내가 컴퓨터와 친해질 수 있을까? (0) 2021.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