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알아가기
-
[Git과 Github 정복] Github 사용 Manual 5 - Commit 내용 수정하기컴퓨터 알아가기/Git & Github 2023. 6. 15. 19:30
지난 시간에 계속 기록이 되는 commit 내용을 삭제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았는데요. commit 내용을 삭제한다는 것은 해당 파일 또한 삭제가 가능한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삭제가 아닌 commit 내용만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나동빈의 Github강좌를 기준으로 공부하고 응용해 봅니다. ▒ Github내 commit 내역 수정하기 1. 작업한 파일 commit 내역 오기입 다시 JS파일을 통하여 더하기 기능을 추가하고 push하고 나서 해당 파일에 빼기 기능을 추가하였으나 commit message는 더하기만 추가 하였다라고 가정했을때 commit 내역을 수정해 보는 연습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작업하고 push까지 진행하겠습니다. 여기서 다시 빼기 기능을 파..
-
[Git과 Github 정복] Github 사용 Manual 4 - Commit 내용 삭제하기컴퓨터 알아가기/Git & Github 2023. 6. 14. 19:30
저장소에서 작업을 하게되면 잘 못 작업된 내용을 지우더라도 해당 흔적은 남아 있습니다. 예를 들어 Github내 Commit을 보게되면 분명 2개 파일만 올렸는데도 그동안 Commit한 내용 즉, 지운 파일에 대한 추적이 그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파일만 지우는게 아니라 Githhub내를 정리하고자 할때 Commit 내용을 수정하는 방법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해당 공부는 나동빈의 Github강좌에서 공부하고 응용하고 있습니다. ▒ Github내 Commit내역 삭제 1. 내 commit 작업 보기 Github를 보게되면 다음과 같이 commit한 내역을 볼 수 있습니다. 위 commit 내역을 보면 지운파일도 그대로 살아있고 하여간 뭔가가 지저분하여 다시 작업하고 싶은 마음이 드네요. 맨 처음 comm..
-
[Git과 Github 정복] Github 사용 Manual 3 - Git 명령어에 대한 이해컴퓨터 알아가기/Git & Github 2023. 6. 13. 19:30
이전 Manual 1, 2편을 통해 간단히 Git을 이용 Github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Quick으로 알아 보았습니다. 사실 그 방식을 기준으로 좀 더 이해하기 쉽게 Git 명령어에 대한 개념을 좀 더 잡아보고자 합니다. 나동빈님의 Github강좌를 기준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 Git 명령어에 대한 이해 1. Git 명령어와 Github 작동원리 Git 명령어를 프롬프트앱 상에서 사용하여 내PC에서 Github로 보내는 작업과 반대로 Github에서 내PC로 가져오는 작업에 대해 다음과 같은 Git 명령어를 사용해 보았습니다. 상기 그림에서 사용해 보지 않은 명령어는 git fetch와 git merge입니다. 이 둘을 합친 명령어가 git pull인데 단순하게 생각해도 git push의 반대가..
-
[Git과 Github 정복] Github 사용 Manual 2 - 내PC(로컬저장소) 작업내용 Github(원격저장소) 올리기컴퓨터 알아가기/Git & Github 2023. 6. 12. 19:30
이제부터는 지난시간에 이어 내 PC를 로컬저장소로 만들었기 때문에 내 PC에서 작업한 내용을 원격저장소인 Github에 올릴수 있는 준비가 된 상태입니다. 이러한 개념이 꼭 필요한 이유가 일반적으로 Github라 하면 내PC에서 작업한 내용을 단순히 Github에 올린다는 개념만 가지고 있기때문에 이러한 단순 개념은 향후 주변 사람들과 작업을 하고 다시 하나의 최종 파일을 만드는 과정에서 이해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역시 나동빈의 Github사용법을 기준으로 공부해 봅니다. Quick Manual 1에서 만든 원격저장소 이름이 Project-Test라는 이름이었구요. 아직 아무런 파일도 없기때문에 원격저장소가 생성이 되지않고 있는것은 지난번에도 말씀 드렸습니다. 이제 내PC에서 간단한 작업을하고 해당파..
-
[Git과 Github 정복] Github 사용 Manual 1 - 내PC 저장소 만들기컴퓨터 알아가기/Git & Github 2023. 6. 9. 19:30
많은 개발자들이 Github를 사용하고 있기에 저같이 초보자도 이용을 하곤 하는데 사실 저는 컴퓨터에서 만든 파일을 올리기만 하는 단순 작업뿐이 못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 글에 앞서 Github에 대한 글을 3편이나 게재를 했음에도 솔직히 아직 머리속에 정립이 되지 않는군요. 해서 좀 더 차근차근 외부강의의 도움을 받아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블로그를 연재해 보고자 합니다. 본 내용은 나동빈님의 Github 강좌를 기준으로 2023년도에 맞게 만들어 봅니다. ▒ Github 빠른 사용방법 (기초) 1. Git과 Github 의미 관련 내용은 지난 글을 참조하거나 공식 문서등을 참조하면 정확한 워딩으로 알 수 있으나 머리속에 남아 있는 이해하기 편한 글로 정리하는게 맞을 듯 합니다. Git은 Githu..
-
[ Git & Github ] Git을 사용하여 Github와 내 컴퓨터 동기화 시키기 : Quick Setup컴퓨터 알아가기/Git & Github 2023. 4. 10. 19:30
아직까지도 사실 Git에 대해 정확히는 모릅니다.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Git 명령어를 CMD창에서 사용하고 이해 하여야 하는데 요즘은 워낙 좋은 에디터들이 나와 너무도 쉽게 Github에 저장을 하게되어 처음 공부한 것을 쉽게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회가 될 때마다 조금 더 기본원리에 충실한 내역을 정리해 가지고 있으면 향후 필요시 꺼내어 다시 공부해 보기에도 좋을 듯 합니다. 지난시간 Git과 Github의 관계 즉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는 명령어 또한 정리를 해 보았는데 해당 명령어를 기준으로 Github내 폴더와 내 컴퓨터내 폴더를 동기화 시키는 연습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Github내 프로젝트 저장소를 만들고 내 컴퓨터 로컬저장소와 동기화 가장 간단한 사용법으로 하나의 프로젝트를 ..
-
Edge(엣지) 로그인 계정정보 삭제 (자동완성 기능 삭제)컴퓨터 알아가기/알아두면 편한 팁 2023. 4. 9. 19:30
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사용기록을 지우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사용하는 프로그램별 사용기록에 대한 삭제 방법이 약간씩 차이가 나지만 기본적으로 '설정'에서 전부 적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인터넷 사용기록과 쿠키 등은 잘 삭제를 하는데 다음과 같이 자동완성 기능에 대해서는 헷갈리고 잘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서 이 부분에 대한 방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금일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엣지를 기준으로 하고자 합니다. 1. 현상 : 과거 로그인 계정정보가 그대로 보임 2. 해결 방법 해결방법은 같은 내용이지만 두군데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상기 그림의 '개인정보관리'를 클릭하거나 브라우저 우측 상단위 점 세개(...)를 클릭하면 설정 화면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① 설정 / 프로필 설정에서 프로필 항목..
-
[Git & Github] Git과 Github의 이해컴퓨터 알아가기/Git & Github 2023. 4. 4. 19:30
지난시간 Git과 Github에 대해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Git 명령어를 이용하여 Github에 저장을 하는 실습을 해 보았습니다만, 사실 약간만 내용이 변경이 되도 GIthub에 제대로 저장이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물론 전문 개발자들은 이런 문제들은 아무것도 아니지만 저같은 초보에게는 상당히 어려운 문제로 다가 섰습니다. 해서 기왕이면 수박 같핥기식의 공부보다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이해가 될 수 있게 정리하는게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원리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진행해 보고자 합니다. 가장 크게 Github에 대해 에러가 많이 났던 것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내가 만든 자료를 어떤 컴퓨터에서도 Github에 저장하고 싶은데 에러가 난다. ② GIthub내 잘 못 올린 내용이 있다면 수정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