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Script 입문 (끝말잇기 게임): 프로그래밍 사고방식컴퓨터 알아가기/JavaScript 2022. 1. 18. 19:30728x90반응형
이 글은 제로초 TV의 자바스크립트 강좌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는 참고를 하고 있는 강좌에서 프로그래밍 사고방식에 대해 강의를 해주고 있습니다. 이에부터는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합니다. 이를 지키지 못할 경우 결국 실패할 겁니다.
1. 프로그래밍 절차 원칙
프로그래밍의 절차라는 것은 하나의 순서도를 의미합니다. 가능한 순서대로 흘러나가는 훈련을 해야합니다.
① 절차의 개수는 정해져 있어야 한다.
② 각 절차는 항상 같은 내용이어야 한다. (일반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③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④ 검증절차는 예시를 이용한다.
2. 예제를 통한 순서도 만들기
상기 1번의 절차를 적어 놓긴했지만 사실 아직까지 무슨말인지 알수가 없습니다. 예시를 가지고 이해를 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끝말잇기'라는 웹게임을 통해서 연습을 해보겠습니다.
'끝말잇기'는 말그대로 단어끝의 글자를 시작하는 단어로 이어가는 무한반복 게임입니다. 강좌에서는 다음과 같은 '끝말잇기' 예시로 시작합니다.
<끝말잇기 예시>
1. 3명의 참가자가 있습니다.
2. A가 ‘자바스크립트’리고 말했습니다.
3. B가 ‘트집’이라고 말했습니다.
4. C가 ‘집합’이라고 말했습니다.
5. 다시 A가 ‘합체’라고 말했습니다.
6. 반복
그럼 위 예시를 기준으로 프로그래밍 절차원칙을 고민해보면 모든 가능성을 고민, 틀리는 경우 등을 절차에 반영해야 합니다.
그리고 일반사항으로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나올 수 있습니다.
1. 참가자가 있습니다.
2. 첫번째 단어를 말합니다.
3. ① 다음 사람이 첫번째 단어의 끝말과 맞게 단어를 말합니다. Or ② 다음 사람이 틀리게 말합니다.
4. 맞는 단어를 말하면 3번의 ①로 돌아갑니다. (딩동댕 표시) Or 틀린 단어를 말하면 ‘틀림’이라고 합니다.이를 기준으로 순서도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순서도의 모양과 방법등은 중학교때 배운 내용으로 사용하셔도 되고 자신만의 논리적인 순서도를 만들면 됩니다.)
현재 순서도는 기본적인 절차에 대해 그려본 겁니다. 사실 좀 더 구체적이고 변수가 없는 순서도를 그려야 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뼈대를 완성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강좌를 따라가면서 프로그래밍을 해보고 순서도에서 보충해야될 부분을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3. 웹 만들기
드디어 Editor인 VS Code를 사용합니다. 이제까지 HTML과 CSS를 공부했지만 역시 오래된 내역이라 진행하면서 예전 블로그를 참조하면서 진행해 보고자 합니다.
지금 솔직히 머리 속에는 프로그램이 아무 생각이 나지 않습니다만.. 충분히 시간을 가지고 하나하나 해 나갈 수 있을것으로 자신감을 가지고 해 보렵니다.
이 부분을 같이 따라하시는 분이 계시면 끝까지 할 수 있게 서로 응원했으면 합니다.반응형'컴퓨터 알아가기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입문 (끝말잇기 게임) : HTML 기본구조 (0) 2022.01.20 JavaScript 입문 : VS Code 마우스우측 클릭 메뉴 활성화 (Open with Code) (0) 2022.01.19 JavaScript 입문 : 객체의 비교 (0) 2022.01.15 JavaScript 입문 : 객체리터널 (Object Literal) - 속성 (0) 2022.01.14 JavaScript 입문 : 함수 기본 -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 (0) 2022.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