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반응형
숫자 야구에서 정답을 확인하는 메소드로 join(' ')을 사용 하였습니다. 좀 더 활용방법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합니다.
1. Array.join( )
배열에서 join( ) 함수는 배열의 원소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값(문자열)으로 만듭니다.
joArray = [1, 2, 3];
let characterArray = joArray.join(' ');characterArray; // '1 2 3'
.join(' ') 메소드를 사용함으로써 배열에서 3개 요소를 하나의 문자열로 나타내어지게 합니다.
참고로 문자열 사이 / 를 삽입코자 하면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let characterArray = joArray.join(' / ');
characterArray; // '1 / 2 / 3'
2. Document.createTextNode( )
텍스트노드를 생성하는 메소드 함수입니다.
기본 사용법
const ctnode = document.createTextNode(데이터);
데이터는 텍스트 노드에 쓰여지는 문자열입니다.
예제를 가지고 공부해 봅니다. (mdn web docs 참조)
HTML을 보면
버튼클릭시 마다 addTextNode( ) 함수를 적용
여기서도 addTextNode( )라는 함수를 버튼을 클릭할 때 마다 작동을 시켜 추가하고자 하는 문장을 클릭시마다 삽입이 가능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처음보는 동작중 영어만 봐도 이해할 수 있는 메소드는 document.getElementById(' ');를 보게 되는데 HTML에서 ID 요소를 가져와서 문서를 만드는데 활용합니다.
3. Split( )
Split( ) 함수는 문자열을 배열로 바꾸어 줍니다.
아래 그림에서 첫번째는 '3456' 문자열을 split( ) 메소드를 활용 배열로 바꾸었으며 ' '를 사용한 두번째는 각 숫자별로 분리하여 총 4개의 요소가 있는 배열로 바꾸었습니다.
마지막 '4'를 사용한 경우는 '4'를 기준점으로 '3'과 '56'을 한꺼번에 묶은 배열이 됩니다.
반응형'컴퓨터 알아가기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입문 : indexOf( ) (0) 2022.04.07 JavaScript 입문 : appendChild( ), append( ) (0) 2022.04.06 JavaScript 입문 : 야구 숫자 게임 - 홈런 여부 검사 (0) 2022.04.05 JavaScript 입문 : 숫자 야구 게임 - 정답 여부 확인 (4개 숫자 검증하기 2) (0) 2022.04.04 JavaScript 입문 : 숫자 야구 게임 - 정답 여부 확인 (4개 숫자 검증 하기 1) (0) 2022.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