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React 기초 : Codepen을 이용한 React 사용설정
    컴퓨터 알아가기/React 2021. 6. 4. 19:30
    728x90
    반응형

    지난 시간 React의 기본적 내용에 대해서는 알아보았고 이제부터는 왜 최근에 많은 개발자들이 React 언어를 사용하는지 웹상에서 구현되는 HTML과 CSS 만으로는 어떤 한계가 있는지 하나하나 뜯어보면서 느껴보도록 할 예정이다. 나 또한 전혀 프로그래밍이라는 분야는 너무도 생소한 분야기에 천천히 이해를 하면서 글을 연재하고자 한다.

     

    만일 이 블로그를 보는 분이 있다면 이 연재를 읽는 것만으로 이해가 되면 좋겠다라는 작은 소망으로 시작하고자 한다. 

     

    많은 블로그와 구글 유투브에서 참조헤서 진행하는 만큼 완벽하지 않을 수 있지만 작은 프로그램 하나 만드는 기쁨이 반드시 올 것임을 확신하며 

     

    초반에 참조는 '동빈나 님의 React 강좌'를 기초로 공부하고 나름 대로 정리한 내역이다.

     


    ▒ React 간단 소개

     

    ▶ React란 UI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JavaScript 기반의 라이브러리다. 라이브러리 (Library)는 만들어진

        프로그램들의 집합소이다. 그래서 필요한 내용들을 코딩과정중에 불러서 만들어 가는 개념이다. 

     

    ▶ JavaScript 기반이라는 것은 JavaScript 언어라고 봐도 된다. 약간의 차이점만 이해를 하면 React와 JavaScript를

        모두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React의 오픈소스 (기존 개발자들이 기 만들어 놓은 프로그램으로 새로 코딩을 하면서 프로그램을 짤 필요없이

        사용)는 facebook의 github사이트로 오늘 이 시간까지도 많은 개발자들이 올려 놓고 있다. 

     

    깃허브: 리엑트 오픈소스

        ※ Github 관련은 앱만들기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고 여기서는 만들어진 오픈소스를 업로드 하는

            저장소로  일단  이해하고 넘어가자.

            참고로, 나도 Github라는 이야기를 처음 들었을때 뭔 말을 하는지도 모르겠고 웬 Github가 있고 Git이

            있고 머리만 아팠는데 조금씩 적응하다 보니 이해는 되기 시작했다. 누누히 이야기 하지만 어느정도 아는

            수준까지만 하자.

     

    ▶ React는 MIT License를 따른다. 쉽게 설명하자면 자유롭게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라는 개념이다.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중에서도 특허를 가지고 선점할 수 있는데 무료로 오픈하는 것은 무슨뜻일까?

        좀 더 많은 이용자들이 사용을 하게 되면 결국 우선적 지위가 높아지고 이는 수익으로까지 연결되기 때문이다. 

       

         자동차중에 하이브리드나 전기차도 제조사들이 특허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오픈해 논다.

         사용자가 많을수록 최대이익은 제조사에게 가기 때문이다. 

     

    React 공식사이트로 가보면 React 전반에 대한 내용이 나와있다. 한글도 지원하고 있어서 언어 선택을 하고

         읽어볼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아무리 읽어도 기본적 지식이 얕기때문에 잘 모른다. 

    출처 : 리액트 공식페이지

     

    ▶ React는 페이스북(facebook)팀에서 개발하고 많은 개발자들이 오늘날 라이브러리를 만들어 공유하고 있다.

        상당히 많은 사이트들이 React로 만들어진 것을 검색을 통하여 알 수 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React로 만들어진 사이트들이다. 

     


    ▒ Codepen을 이용한 React 사용 설정

     

    ▶ Codepen은 웹개발 도구 사이트이다. 쉽게 말하자면 프론트엔드(Front end)개발자들이 코드를 공유하거나

         웹페이지에 적용 하기전 바로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 놓은 사이트다. 

     

    ▶ 너무도 유용한 웹페이지 개발 소스들이 많은 관계로 이 곳에서 이미 만들어진 소스코드로 내 웹페이지 개발에

        적용 수 있다. 단, 상업적으로 사용할 시 반드시 원저작자의 License를 보고 적용해야 향후 법적 분쟁을

        피할 수 있다. 

        Codepen 의 다른 사용법은 해당 주제가 나올때 다시 언급하고 오늘은 React 하기 위한 설정부터 배워보고자

        한다. 

     

        어찌되었던 참 고마운 사이트인 것은 틀림이 없다.

     

    ▶ 우리가 처음 React를 이해하기 위해서 Codepen을 이용하는 것은 개념을 잡아나가는데 있어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강력한 발툴이기 때문이다. 나는 최초 Codepen을 이용하지 않고 내 컴퓨터에 Visual Studio를 이용하여 로컬

        설정을 하고 이것 저것 진행을 해보았다.

        그런데 조금 더 공부를 하고자 코드 내용을 보는데 강좌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조금이라도 다른

        내용이 나오게 되면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상황으로 포기하기도 하곤 했는데 여러가지 강좌를 Try하다 다시

        개념을 잡고자 좀 더 천천히 배워보는 과정을 선택했다. 

     

       Codepen을 통해 개념을 잡고나서 내 로컬컴퓨터 설정을 통해 본격적으로 React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도 좋을것이다.

     

     


    ① 구글에서 Codepen을 검색한 후 Codepen 홈페이지로 들어가보자.

     

       이 사이트는 웹과 관련된 괜찮은 사이트라 로그인 후 PEN을 클릭한다. 

    출처 : Codepen

     

    ② React 작업 환경 만들기 

     

       기본 작업환경 화면이 HTML, CSS, JS로 나뉘어져 있다. 이미 여러번 설명한 바와 같이 웹사이트는 크게

       HTML, CSS, JS(JavaScript) 세가지 언어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웹사이트의 기본틀 구축 : HTML

       웹사이트의 디자인(스타일) 구축 : CSS

       웹사이트의 프로그래밍을 통한 여러가지 작동에 관여 : JavaScript 

     

       로 나뉘어진다. 

     

       우리는 이곳에 특히 JS 섹션에 React가 작동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것 처럼 React는

       JavaScript 기반이기 때문이다.

     

    출처 : Codepen

     

     

    ③ React 작업환경 구축

     

       Setting을 누르면 PenSettings 화면이 뜨는데 여기서 외부 script를 가져오는 setting을 함으로써 JavaScript

       라이브러리를 가할 수 있다. 

     

       JS를 클릭하고 검색창에 react를 치면 밑으로 react와 react-dom이 뜨는데 누르면 자동설치가 된다.

      (Save & Close)

    출처 : Codepen

     

       이로써 react와 react-dom을 외부로 부터 불러옴으로 기본적으로 react 개발환경이 구축이 가능해진다. 

     

    출처 : Codepen

     

    ④ JSX 환경 구축

     

       React에서 나중에 실습해 보겠지만 기본적 HTML과 JavaScript를 이용하는 언어(문법)을 JSX라고 부른다.

       이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JavaScriptPreprocessor 항목을 Babel로 바꾸어 준다. 

     

    출처 : Codepen

     

     

    이제 Codepn에서 React를 사용하기 위한 환경구축이 완료 되었다. 상당히 간단하고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우리는 이제부터 환경에서 React의 개념을 익히고나서 향후 본격적으로 내 로컬컴퓨터에 직접 설정을 통해서

    좀 더 활용하는 방법을 공부해 보도록 하자.

    반응형

    댓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