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틱톡 (TikTok) 수익구조몰상식 (몰라도 되는 상식) 2022. 1. 17. 19:30
금일 뉴스에 두자매가 벌어드린 수익이 눈에 띄었습니다. 언니는 119억, 동생은 209억을 벌었는데 이들은 전부 틱톡의 인플루언서라고 합니다. 2021년 틱톡 인플루언서 1위인 미국의 찰리 디아멜리오(18)는 209억을 2위인 딕시 디아멜리오(21) 언니는 119억을 벌었다고 하니 웨만한 유명 기업의 CEO들보다 훨씬 수익을 많이 올렸다고 합니다. 과연 틱톡이라는 짧은 동영상매체가 왜이리 파급력이 큰지 과연 틱톡은 어떤 수익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 1. 틱톡이란 우선 간단히 틱톡이 무엇인지 알아봐야겠습니다. 틱톡(영어 TikTok, 중국어 抖音 더우인)은 2012년 중국의 IT기업인 바이트댄스(ByteDance)에서 소유하고 있는 글로벌 숏폼 비디오 플랫폼입니다. 동영상으로 할 수 있..
-
JavaScript 입문 : 객체의 비교컴퓨터 알아가기/JavaScript 2022. 1. 15. 19:30
이 글은 제로초 TV의 자바스크립트 강좌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제 중요한 개념을 하나 이해하고 가야됩니다. 객체간 비교를 하는 부분이 향후 프로그래밍 개념에서 중요하다고 합니다. 1. 객체와 객체 비교는 False 다음과 같이 객체와 객체의 비교는 false값을 반환합니다. 이유는 객체는 생성될 때 마다 새롭게 생성되기 때문에 모양이 같다고 해도 그 자체로는 다르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어떤 강좌에서는 메모리를 사용하는 위치등이 다르다고 해서 False값이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만, 객체는 생성될 때마다 새롭게 생성된다라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문자열이나 숫자열등은 비교는 항상 True였습니다. 2. 같은 객체로 만들기 객체로 사용되는 변수나 요소 또는 속성값들을 같게 만들기 위해서 즉, ..
-
하인리히 법칙 (Heinrich's Law)과 버드의 법칙몰상식 (몰라도 되는 상식) 2022. 1. 14. 20:30
예로부터 뉴스에 접하는 여러가지 재해를 볼때마다 많은 곳에 하인리히 법칙 (Heinrich's Law)을 응용하곤 합니다. 과연 이러한 법칙이 정말 존재하는지 왜 이러한 법칙을 만들 수 밖에 없었는지 궁금해 집니다. 1. 하인리히 법칙이란 이 법칙은 1: 29: 300의 법칙을 말한다고 합니다. 대형 사고(1)가 발생하기전 작은 사고가 약 20번정도 발생이 되고 이전에 사소한 사고들이 300번정도 발생하는 통계적 법칙입니다. 한국에서 사례를 찾아보면 1994년 성수대고 붕괴,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1997 ~8년 IMF사태 같은 사고를 예로 들을 수 있는데 모든 큰 재해가 발생하기 전 사소한 경고성 재해들이 지속적으로 발생이 되었다고 합니다. 심지어는 이 글을 쓰고 있는 이 시점 광주광역시에서 현..
-
JavaScript 입문 : 객체리터널 (Object Literal) - 속성컴퓨터 알아가기/JavaScript 2022. 1. 14. 19:30
이 글은 제로토 TV의 자바스크립트 강좌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 객체리터럴 (Object Literal) 1. 기본구조 함수나 배열이 아닌 객체의 형태를 객체리터럴 (Objective Litereal)이라고 부릅니다. 즉, 객체가 되는 문장들의 형태를 뜁니다. 이는 속성이름과 속성값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집에 관한 정보가 다음과 같이 있다고 가정해 봅니다. 위치: '서울' 형태: '아파트' 방: '3개' 이럴경우 집이라는 변수를 사용하여 중괄호로 묶어줄 수 있습니다. 이때 위치, 형태, 방 등은 속성이름이며 '서울' '아파트' '3개'는 속성값입니다.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상기와 같이 변수를 선언하고 { }를 사용하여 객체를 표현하는 것을 '객체리터럴, Object Liter..
-
샌드박스 (Sand Box)몰상식 (몰라도 되는 상식) 2022. 1. 13. 19:30
샌드박스는 말 그대로 '모래상자'입니다. 과거 집주변 놀이터에 모래가 모여진 것을 보거나 가족여행을 할때 바닷가에서 모래놀이 하는것 외에 특별히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았습니다만, 여러가지로 사용되고 있어서 이 기회에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1. 모래상자 (Sand Box) 일반적 의미의 모래상자입니다. 여러가지 출처의 설명에 따르면 아이들이 놀이터처럼 적당한 넓이로 나무 또는 플라스틱 틀로 만들어 이 안에 모래를 채워넣은 공간을 말합니다. 아이들이 시간 가는줄 모르게 모래를 가지고 노는 경우를 많이 보았을 겁니다. 다른 놀이기구가 없더라도 모래만 있으면 하나의 놀이터가 형성이 되기도 하지요. 부모 입장에서는 모래라는 푹신한 재료가 안전을 보장하는 느낌을 주기도 하구요. 위 그림처럼 기본적으로 사각형을 많..
-
JavaScript 입문 : 함수 기본 -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컴퓨터 알아가기/JavaScript 2022. 1. 12. 19:30
이 글은 제로초 TV의 자바스크립트 강좌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 1. 기본구조 지난시간 함수의 기본구조를 이해해 보있습니다. 이제는 이 기본 구조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해 보고자합니다. 상기 기본구조에서 함수를 표시하는 괄호( )안에 변수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게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입니다. 앞으로는 가능한 영어로 이해를 하는편이 가장 좋습니다. 어차피 해당 프로그램을 만든사람의 기본언어가 영어이기 때문입니다. 어찌되었던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는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매개변수는 말 그대로 변수의 역할을 하며 연결되는 인수역할을 함수실행시 하게됩니다. 다음 예제를 보..
-
JavaSript 입문 : 함수 기본구조컴퓨터 알아가기/JavaScript 2022. 1. 10. 19:30
이 글은 제로초TV의 자바스크립트 강좌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입문문법의 마지막인 함수를 살펴볼 겁니다. 함수를 하더라도 머리속에 프로그래밍에 대한 개념이 잘 잡히지 않습니다. 앞으로 지속적인 복습과 응용만이 앞으로 나아갈 길 같습니다. ▒ 자바스크립트 함수 1. 함수의 정의 함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값을 계산하는 문장 집합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좀 더 쉽게 설명하면 수학시간에 배웠던 함수나 계산식 등을 하나의 프로그램화 시켜 결과값을 화면에 출력시키는 코딩역할이라고 보면 됩니다. 2. 함수의 기본구조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 function a( ) { } 이거나 const b = ( ) => { }; 의 형태로 만듭니다. function a( ) { console.log(‘Hel..
-
JavaScript 입문 : 객체 - 배열 (Array) 기본 (3) includes(), indexOf(), lastIndexOf(), 배열반복컴퓨터 알아가기/JavaScript 2022. 1. 6. 19:30
이 글은 제로초 TV의 자바스크립트 강좌를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1. 배열 요소 찾기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배열중에서 요소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은 변수명.includes( )를 이용해서 알 수 있습니다. 결과값은 true 또는 false로 표시됩니다. 2. Index 위치 찾기 Index의 위치를 나타내어 주는 명령어로 앞에서부터 카운팅되는 indexOf( )와 뒤에서부터 카운팅되는 lastIndexOf( )가 있습니다. 다음 배열을 기준으로 보겠습니다. '바나나'의 Index 위치를 앞과 뒤에서 찾아 보겠습니다. 배열의 숫자가 수백, 수천개로 이루어져 있을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툴입니다. 만일 Index에 없는 항목을 검색하게 되면 결과값은 '-1'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